과연 어린이들은 지나치게 많은 예방주사를 맞고 있나? 과연 어린이들은 지나치게 많은 예방주사를 맞고 있나? 대답은 No다. ※ 이번 글은 전문의인 스티븐 배럿(Stephen Barrett)과 마크 크리슬립(Mark Crislip)이 사이비의료 퇴치 사이트인 쿽워치(quackwatch.org)에 기고한 백신 관련 글입니다. 원제목은 “Do Children Get Too Many Immunizations?”이며, 과학중.. 의료사회학 2016.12.05
일본의 의사들은 한약을 얼마나 활용할까? 일본의 의사들은 한약을 얼마나 활용할까? 강석하 2016.08.24 국내 한의계에서는 일본의 의사들이 한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본에서는 한약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일본은 우리나라와 달리 한의사 제도를 별도로 두고 있지 않으며, 의사 면허를 가진 .. 의료사회학 2016.09.06
코크란 연합 '한약' 논문 분석해 보니...효능 입증 전무 코크란 연합 '한약' 논문 분석해 보니...효능 입증 전무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한약 효과 입증·추천 결론 단 한 개도 없어" 임상시험 통해 안전성·유효성 검증해야...헌법재판소 위헌 소송 제기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은 근거중심의학 평가기관인 코크란 연합(Cochrane Collaboration, http://www.cochr.. 의료사회학 2016.04.13
아르테미시닌에 대한 노벨상 수상은 중의학에 대한 수상이 아닙니다/펌 아르테미시닌에 대한 노벨상 수상은 중의학에 대한 수상이 아닙니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기생충 약을 개발한 세 명의 학자들에게 수여됐다. 수상자 중 중국의 투유유 교수는 한의서에 기록된 학질 처방 중 하나인 개똥쑥(한약재명: 청호)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성분 아르테미시닌(arte.. 의료사회학 2015.11.05
'양의사, '양의학' 용어 사용은 현대의학을 몰라서 하는 소리/펌 '양의사, '양의학' 용어 사용은 현대의학을 몰라서 하는 소리 대한의사협회가 15일 의료계 출입기자들에게 ‘양방’, ‘양의사’ 표현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하자 대한한의사협회가 이에 반박하는 등 ‘양의사’, ‘양방’, ‘양의학’이라는 용어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양의사.. 의료사회학 2015.11.05
공공의료란? /펌 도대체 공공의료가 뭔가? 메르스 사후 대책으로 “공공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라”, “폐쇄된 진주의료원을 복원하라”는 정치인, 관료, 기자들의 목소리가 높다. 과연 올바른 지적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틀린 주장이다. “공공의료”, “공공보건의료”,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이해부.. 의료사회학 2015.07.22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에 대해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에 대해 한의사들이 현대의료기기 사용에 욕심을 부리는 이유는 먹고살기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먹고살기가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당연히 환자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이다. 왜냐고? 한의학이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효과가 없는 이유도 자명하다. 한의학이.. 의료사회학 2015.04.15
“동종요법은 사기” 철퇴 내린 호주 정부 “동종요법은 사기” 철퇴 내린 호주 정부 한의학에 수천억 예산 퍼붓는 한국과 대조적 호주 정부 산하의 국립보건의료연구위원회(Th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 NHMRC)가 동종요법(homeopathy)에 대해서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제대로 된 근거가 없다"(no good qual.. 의료사회학 2015.04.11
한약의 부작용 문제에 대하여 한약의 부작용 문제에 대하여 강석하|2015.03.29 최근 접촉성 피부염을 앓던 20대 여성이 두 달 동안 한의원 치료를 받고 간 손상으로 사망한 사건에 대해 대법원이 한의사에게 손해배상책임을 묻는 판결을 내렸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대한한의사협회와 일부 한의사들은 한약은 절대 안전하.. 의료사회학 2015.04.11
'치료 효과의 근거가 없다'는 말의 진짜 의미는 무엇일까? '치료 효과의 근거가 없다'는 말의 진짜 의미는 무엇일까? 강석하|2015.04.08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진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기존 발표된 임상시험 논문들을 종합 분석해 보다 고차원의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방법) 60편 중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논문 단 한 편만 효과 있다는 결론이었다.. 의료사회학 201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