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재(公共財) 산업에서의 정부 개입의 역사 공공재(公共財) 산업에서의 정부 개입의 역사 1. 지원육성 단계; 특정 산업의 토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안정화 단계;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공정하고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고, 제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보장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안정화시키고 강화시킨다. 3. 경쟁촉진 단계; 가격을 낮추.. 사회과학 2011.01.05
산업성장의 물결:중앙화와 탈중앙화 현대산업이 출현하기 이전, 우리가 `스테이지 제로(Stage zero)`라고 부르는 시기에는 모든 것을 거의 손으로 해야만 했다. 우리는 직접 편지를 쓰고, 계산자로 셈을 하고, 카본지로 복사를 했다. 이 산업에서 스테이지 제로 시기에는 활동이 지역적으로 흩어져 있었다. `현대적` 기술이 어떤 산업에 등장.. 사회과학 2011.01.05
[광화문에서/신연수]인재를 쫓아내는 ‘나쁜 리더’들 [광화문에서/신연수]인재를 쫓아내는 ‘나쁜 리더’들 새해를 앞두고 기업들의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 삼성 SK 등 국내 대표적인 그룹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젊은 조직’과 ‘스피디한 경영’을 강조하며 대대적인 세대교체를 실시했다. 21세기는 지난 세기와 달리 묵묵히 컨베이어벨트를 돌.. 사회과학 2010.12.27
[김순덕 칼럼]‘곽노현 쿠데타’ [김순덕 칼럼]‘곽노현 쿠데타’ 새로 온 공장장이 “공장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장(場)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고 가정해보자. 공장 사람들은 환호할지 모른다. 당장 제품을 잘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다. 또 공장장이 “우리 공장을 통해 학벌사회 노동사회의 문제를 바로잡.. 사회과학 2010.12.27
사업 모델이란? 고객이나 제품이 아닌, 고객이 해결하려는 `일`이야말로 마케팅 분석의 기초단위가 되어야 한다.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는 이런 말을 했다. ``제품이 고객들에게 잘 팔릴 것이라는 회사의 예상이 맞는 경우는 드물다.`` 고객이 하려는 일을 해결해주기 위해 자회사만의 고유한 방식으.. 사회과학 2010.12.21
정치에서의 그레샴 법칙 어떤 사람이 출세하는가? 그것은 출세를 위해 투자(노력)를 많이 하는 사람이다. 그러면 어떤 사람이 출세를 위해 투자를 많이 하는가? 그것은 권력의 예상수익률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즉 권력을 얻으면 이득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어떤 사람이 이렇게 생각하는가?.. 사회과학 2010.12.14
뷰캐넌이 본 관료집단 일찍이 밀은 관료들이 타성과 집단이기주의에 젖어 있는 수구세력임을 지적한 바 있다. 관료의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정부와 함께 존재하여 온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밀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이는 민주사회에서도 여전하다. 관료도 정치인과 마찬가지로 재정의 증대를 선호하는 강.. 사회과학 2010.12.14
뷰캐넌의 재정팽창을 선호하는 정치인 분류 1. 첫째는 이상적 성향이 강하여 개입주의적 성향을 가진 정치인들이다.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은 정치를 지망하지 않고 정치에 관심이 많은 사람만이 정계에 진출하여 정치인이 된다. 이런 사람들은 정치권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한다. 재당선의 전망이나 소속정당의 지지라는 제약.. 사회과학 2010.12.14
[동아광장/박찬욱]대화와 소통의 정치, 해법은 없을까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대응은 국민에게 실망과 불안을 안겨주었다. 다수 국민은 대통령, 청와대와 군이 북의 도발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도 안보를 더욱 튼튼히 할 것이라는 믿음을 주지 못했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야당이.. 사회과학 2010.12.07
대중의 지혜/책 평범한 다수가 탁월한 소수보다 현명하다! 치열하게 '인재전쟁'을 치르는 기업에게 이 말은 아주 이상하게 들릴 것이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실험에 주목해보자. 현명한 사람들로만 구성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무작위로 섞여 있는 두 집단 중 어느 집단이 통계적으로 좋은 결과.. 사회과학 201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