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패스는 범죄자와 다른 사람인가, 아니면 그저 더 악랄한 사람일 뿐인가? 뇌 영상 검사에서는 사이코패스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들에게는 단순히 반사회적인 개인이나 정상적인 사람과는 다른 특이한 이상 증상이 있다. 말하자면, 이들의 비도덕적 행위는 뇌의 인지 구조 중 특정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사이코패스는 지능도 높고 이성적인 사고도 가능하다. 일반 정신병자와 같은 망상도 하지 않는다. 사회 규범과 도덕적 행동의 규칙을 알지만, 사이코패스에게 그것은 그저 하나의 규칙일 뿐이다. "식탁에서 손으로 먹어서는 안 된다."는 사회적 규칙을 잠시 지키지 않는 것은 괜찮지만 "식탁에서 옆 사람 얼굴에 침을 뱉어서는 안 된다."는 규칙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사이코패스는 감정적으로 중요하고 공감이 가는 자극이 주어졌을 때 자신을 제어할 줄 아는 정상인에 비해 외배엽의 반응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이들은 공감, 죄책감, 수치심이라는 도덕적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 어떤 의미에서는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들은 어느 한 가지에만 마음을 빼앗겨 그 마음을 억제하지 못하는데, 이것이 바로 정상인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는 선천적인 것으로 보인다.
<사이코패스 테스트>
PCL-R(psycopath check list - revised) 테스트는 20개 문항으로 문항마다 0~2점(전혀 그렇지 않다: 0점, 조금 그렇다: 1점, 정말 그렇다: 2점)이 부여돼 모두 40점 만점이다. 미국은 30점 이상, 한국은 24점 이상이면 사이코패스로 분류한다.
PCL-R 테스트
1. 입심 좋음/피상적 매력(말 잘하고 타인이 쉽게 호감을 느낀다)
2. 과도한 자존감(자존심이 지나치게 높다)
3. 자극 욕구/쉽게 지루해함
4. 병적인 거짓말(거짓말을 입에 달고 산다)
5. 남을 잘 속임/조종함(타인을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한다)
6. 후회 혹은 죄책감 결여(후회하는 일이 거의 없고 죄책감도 잘 느끼지 않는다)
7. 얕은 감정(감동하는 일이 거의 없다)
8. 냉담/공감 능력의 결여(매사에 냉담하고 남의 말에 공감하지 않는다)
9. 기생적인 생활방식(고정적인 직업이 없고 남에게 빌붙어 산다)
10. 행동통제력 부족(나쁜 행동을 자제하기 어렵다)
11. 문란한 성생활
12. 어릴 때 문제 행동(주의력 결핍과 품행 장애)
13.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목표 부재
14. 충동성(매사에 충동적이다)
15. 무책임
16.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못 느낌(범죄에 대한 죄책감을 못 느낌)
17. 여러 번의 혼인 관계
18. 청소년기 비행(소년범 경력)
19. 조건부 석방 혹은 유예의 취소(집행유예나 선고유예 기간 중 범법을 저질렀다)
20. 다양한 범죄 경력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과 기질 (0) | 2011.07.22 |
---|---|
쿨리지 효과 (0) | 2011.07.09 |
기억의 분류 (0) | 2011.07.06 |
설득 그리고 감정이 개입된 논쟁 (0) | 2011.07.02 |
뇌에 깃든 도덕의 모듈, 감정들의 계보 (0) | 201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