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화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팔락 2011. 1. 7. 12:16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君子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 진심 상 제 20장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는데, 天下의 王노릇 함은 여기에 들어(與하여) 있지 않다。

 

 

父母가 모두 계시며 형제들이 아무 탈 없음(無故)이 첫째 즐거움이요,

 

이것은 사람이 깊이 원하는 것이나 반드시 얻을 수는 없는 것이므로, 이제 얻었으니 그 즐거움을 알 수 있다。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아니하고, 굽어 사람에게 부끄럽지 아니함이 둘째 즐거움이요,

 

정자 "사람이 능히 사욕을 이기면 곧 우러러도 부끄럽지 아니하고, 굽어 부끄럽지 아니하여 마음이 넓어지고 몸도 펴지니(心廣體胖), 그 즐거움을 알 수 있지마는, 쉬면 주리게 된다。"

 

天下의 빼어난 人材를 얻어 敎育함이 세번째 즐거움이다。

 

이 세상의 밝고 지혜로운 人才를 다 얻어서 자기가 즐거워하는 바로서 가르쳐 기르면 그 道를 傳함을 얻는 자가 많아서 天下 後世에 장차 그 恩澤을 입지 않음이 없으리라。 聖人의 마음이 願하여 하고자 하는 것이 이보다 큰 것이 없거늘, 이제 이미 얻었으니 그 즐거움이 어떠하겠는가?

 

君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는데, 天下의 王노릇 함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다。

 

林氏 "이 세 가지 즐거움은 하나는 하늘에 매이고, 하나는 사람에 매이고, 그 스스로 다스릴 것은 오직 하늘과 땅에 부끄럽지 않은 것이니, 배우는 자가 힘쓰지 않을 수 있겠느냐?"

 

 

 

盡心章句上 二十章

孟子曰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此人所深願而不可必得者, 今旣得之, 其樂可知。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程子曰 [人能克己, 則仰不愧, 俯不怍, 心廣體胖, 其樂可知, 有息則餒矣。 ]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

盡得一世明睿之才, 而以所樂乎己者敎而養之, 則斯道之傳得之者衆, 而天下後世將無不被其澤矣。 聖人之心所願欲者, 莫大於此, 今旣得之, 其樂爲何如哉?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

林氏曰 [此三樂者, 一係於天, 一係於人。 其可以自致者, 惟不愧不怍而已, 學者可不勉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