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을 든 21세기의 전근대인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을 든 21세기의 전근대인 계몽주의란 17, 18세기 유럽에서 나타난 사상운동이다. 당시 유럽은 종교의 권위가 무너지고 신분제의 모순이 극에 달하던 시기였다. 계몽주의에서는 신이 아니라 이성(理性)이 핵심이다. 계몽주의의 믿음은 이렇다. 인간은 .. 과학이야기 2016.11.01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노벨상 발표장에 도넛이 등장한 까닭은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노벨상 발표장에 도넛이 등장한 까닭은 ― 위상수학과 우리의 삶 옷을 다 입은 상태에서 속옷만 벗는 것이 가능할까. 이론물리학자로서 진지하게 답한다면 “그렇다”이다. 다만 속옷이 위상수학의 적용을 받는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위상수학이란 대상을 .. 과학이야기 2016.11.01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유라시아판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까닭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유라시아판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까닭 개천절과 한반도 개천절은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날이다. 단군은 웅녀의 아들이다. 웅녀는 곰이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은 채 마늘과 쑥만 먹고 인간이 됐다고 한다. 물론 현대 과학기술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더구.. 과학이야기 2016.11.01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달에서 본 지구, 지구에서 본 달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달에서 본 지구, 지구에서 본 달 1년 중 모두가 달을 유심히 쳐다보는 날이 있다. 추석이다. 옛날에는 인공의 불빛이 거의 없었다. 밤의 어둠 속에서 빛을 밝히는 것은 달의 몫이었다. 따라서 달이 가장 밝은 날은 중요한 의미를 가졌으리라. 모든 이가 달이 날.. 과학이야기 2016.11.01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디지털 정보기술은 시간과 공간의 거리를 단축시켜서 복잡한 절차와 오랜 시간이 걸리던 업무를 간편하게 만들었다. 이제 우리는 이동 중에 웬만한 용무를 처리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 연결되고 자동화된 환경 덕분에 과거처럼 육체적, 정신적 수고를 기울이지 않.. 과학이야기 2016.10.28
사회적 뇌 [책]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Social : why our brains are wired to connect) - 매튜 D. 리버먼 행복하고 건강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생산적이고 곤경에 처하는 경우도 적으며 사회에 초래하는 비용도 적다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좀더 행복하고 건강해질 수 있는 걸까요? 매.. 과학이야기 2016.09.22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신뢰는 ‘합리적 의심’에서 나온다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신뢰는 ‘합리적 의심’에서 나온다 1957년 독일의 그뤼넨탈사(社)는 ‘탈리도마이드’라는 화합물로 만든 수면제를 시판했다. 인체에 무해하다고 해서 의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이었다. 특히 임신부들의 입덧 완화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 약.. 과학이야기 2016.09.0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정자는 역동적이고 난자는 수동적이라고?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정자는 역동적이고 난자는 수동적이라고? ―과학과 여성 차별 인간 사회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차별은 성차별일 것이다. 농경사회가 시작된 이래 대부분의 문명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나은 대접을 받았다. 아니, 부적절한 표현이다. 대개 여성은 남.. 과학이야기 2016.08.23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에어컨 없는 소크라테스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에어컨 없는 소크라테스 배고픈 소크라테스는 될 수 있을지언정, 에어컨 없는 소크라테스는 되기 힘든 요즘 날씨다. 고등학생 시절 에어컨 없는 교실에서 여름방학 보충수업을 들었다. 선풍기 바람이 잘 드는 자리를 두고 싸우던 기억이 난다. 요즘엔 에어컨 .. 과학이야기 2016.08.1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덥다는 것의 의미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덥다는 것의 의미 요즘 너무 덥다. 매년 되풀이되는 일이기는 하다. 그렇다고 쉽사리 적응되는 것도 아니다. 분명 내년 이맘때에도 더울 거다. 덥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무엇을 의미할까. 비가 오면 더위가 한풀 꺾이는 것으로부터 햇빛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 과학이야기 2016.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