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서경(告身署經)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서경 이덕일 역사평론가 이번 총선은 논문 표절, 막말 시비 등 자질 시비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런 후보들도 일단 당선되었을 경우 다른 방법이 없다. 옛날에는 이런 경우를 막기 위한 제도로 서경(署經)이란 것이 있었다. 관직 임용자의 고신(告身 : 임명장.. 고전,문화 2012.04.14
송양지인 [宋襄之仁] 송양지인 [宋襄之仁] 실질적으로 아무런 의미도 없는 어리석은 대의명분을 내세우거나 또는 불필요한 인정이나 동정을 베풀다가 오히려 심한 타격을 받는 것을 비유하는 말. 宋 : 송나라 송 襄 : 도울 양 之 : 갈 지 仁 : 어질 인 송(宋)나라의 양공(襄公)은 초(楚)나라와 싸울 때 먼저 강 저.. 고전,문화 2012.03.22
세익스피어의 일곱 나이(Seven ages of man) 세익스피어의 일곱 나이(Seven ages of man)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5대 희곡 작품에는 `말괄량이 길들이기(Taming of the Shrew), 베니스의 상인(The Merchant of Venice), 십이야(Twelfth Night), 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 뜻대로 하세요(As You Like It)`가 있다. 이 작품 중 `뜻대로 하세요.. 고전,문화 2012.02.06
[한비야]21세기 시대정신은 세계시민의식! [문화칼럼/한비야]21세기 시대정신은 세계시민의식! 한비야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교장·유엔 자문위원 며칠 전 성당에서 있었던 일이다. 세면대에서 열 살 남짓한 여자아이가 컵에 물을 받아 이를 닦고 있었다. “아이, 착해. 컵에다 물을 받아서 닦네?” 아이는 동그란 눈을 크.. 고전,문화 2012.02.04
개두환면 [ 改頭換面 ] 개두환면 [ 改頭換面 ] 뜻음 고칠 개, 머리 두, 바꿀 환, 낯 면. 풀이 머리를 고치고 낯을 바꿈. 마음은 고치지 아니하고 겉으로만 달라진 체함. 또는 일을 근본적으로 고치지 아니하고 겉만 다르게 꾸밈. 지엽만 고치고 근본을 그대로 둠. 출전 古今風謠(고금풍요). 고전,문화 2011.12.01
대은조시(大隱朝市) 대은조시(大隱朝市) 진(晉)의 왕강거(王康琚)가 《반초은시(反招隱詩)》에서 “小隱隱陵藪 大隱隱朝市(소은은릉수 대은은조시)”라 하여 “작은 은자는 산이나 수풀에 숨고, 큰 은자는 조정과 시장에 숨는다”고 한 것이 출전입니다. 한편, 《진서(晉書)》 등찬전(鄧粲傳)에서는 .. 고전,문화 2011.11.17
방유일순(謗由一脣) 방유일순(謗由一脣) 말이 말을 만든다. 옛 시인이 "말하기 좋다 하고 남의 말 말 것이, 남의 말 내 하면 남도 내 말 하는 것이, 말로써 말 많으니 말 말까 하노라"고 노래한 것은 다 이유가 있다. 말 만들기 좋아하는 사람은 어디나 있게 마련이다. 아암(兒菴) 혜장(惠藏)은 대단한 학승이었다. 사람이 거.. 고전,문화 2011.07.30
한고조(寒苦鳥) 한고조(寒苦鳥) 옛날 인도의 히말라야 산맥에는 한고조라는 새가 살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새는 일반 새들과 달리 깃털이 없고 집을 짓지 않고 밤에는 굴속이나 땅 구멍에서 잠을 잔다고 합니다. 한고조(寒苦鳥)는 밤만 되면 추위에 벌벌 떨며 이런 다짐을 하곤 합니다. "날 새면, 날 새면 집 지어야.. 고전,문화 2011.07.29
세상에서 가장 짧은 편지/빅토르 위고 세상에서 가장 짧은 편지는 1862년 빅토르 위고가 자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이 잘 팔리는지 알고 싶어 출판업자 허스트에게 보낸 편지다. 자신의 소설 판매량이 궁금했던 빅토르 위고는 편지를 썼는데 편지 내용은 단순히 '?'였다. 그에 대한 답장은 달랑 '!'였다. 독자 반응이 아주 좋다는 의미를 담은 .. 고전,문화 2011.06.27
잘못에 대한 대처,경구 우리는 누구나 사실이 아니라고 알고 있는 것들을 믿어놓고는 나중에 그것이 잘못이라고 밝혀지면 뻔뻔하게도 자신이 옳았음을 입증하기 위해 사실을 왜곡할 수도 있다. 지적으로는 이 과정이 한없이 계속될 수도 있다. 이를 제지할 유일한 요소는 잘못된 믿음이 머지않아 부정.. 고전,문화 2011.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