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불길한 미래를 상상하는 이유

팔락 2012. 8. 31. 12:26

사람은 쉽게 상상이 되는 일일수록,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을 과대평가한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는 대부분 나쁜 일보다 좋은 일을 훨씬 더 많이 상상하기 때문에, 좋은 일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우리는 미래를 비현실적일 만큼 낙관적으로 보기도 한다.

 

무서운 상상은 말 그대로 우리를 공포에 떨게 만든다. 미래를 상상하면서 한껏 즐기기보다는 염려를 더 많이 하는 사람들도 있다. 심지어 그들 중 일부는 미래에 대한 생각을 멈추기 위해 치료를 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가끔 불길한 사건을 장황하게 상상할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불쾌한 사건을 예견함으로써 그것이 불러올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례로 한 연구에서 참가자들에게 20번의 전기 충격을 가하면서, 각각의 전기 충격이 발생하기 3초 전에 그것을 알리는 경보음을 울렸다. 이때, A 참가자 집단은 오른쪽 발목에 강한 충격을 20번 받았고, B 참가자 집단은 강한 중격 3번, 약한 충격 17번을 받았다.

 

실험 결과, B 집단이 전체적으로는 A 집단보다 더 적은 양의 충격을 받았지만, B 집단의 피험자들의 심장박동이 더 빨랐고 땀도 많이 흘렸으며 더 심한 두려움을 느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이유는 B 집단의 참가자는 가끔씩 서로 다른 강도의 충격을 받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예상치 못한 3번의 강한 충격은 예상할 수 있는 20번의 강한 충격보다 더 고통스러울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굳이 불쾌한 사건을 상상하면서 고통을 경험하는 두 번째 이유는 공포, 염려, 그리고 불안이 우리 삶에서 유용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종업원, 어린이 그리고 애완동물에게 올바른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잘못된 행동으로 발생할 좋지 않은 결과를 과장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기로 우리도 자기 자신을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는 내일의 볼쾌한 일들을 상상해봄으로써 스스로를 준비시킨다.

 

예측하는 것은 공포를 내다보는 일이 될 수 있지만, 이때의 목적은 미래의 예측보다는 특정한 모습의 미래를 예방하는 데 있다. 실제로 연구 결과들을 보면 이러한 전략은 종종 사람들로 하여금 신중하고 예방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동기부여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말해 가끔 우리는 스스로 정신을 차리도록 하기 위해 어두운 미래를 그려보기도 하는 것이다.

--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