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주의와 비합리주의
마르크스는 소크라테스 그리고 칸트와 함께 인간 이성이 인류의 통합의 기초라고 믿은 합리주의자였다. 그러나 인간의 관념이 계급이익에 의해 결정된다는 그의 교설은 합리주의에 대한 신념의 쇠잔을 재촉했다.
우리의 관념은 민족적 이익과 전통에 의해 결정된다는 헤겔의 교설도 합리주의에 대한 신념의 토대를 파괴한다. 이렇게 합리주의는 좌우로부터 공격을 받는다. 현대에 있어서 합리주의와 비합리주의의 대결은 그러므로 중요한 쟁점이 아닐 수 없다.
합리주의는 비판적 논증에 귀를 기울이며 경험으로부터 배우고자 하는 태도를 뜻한다. 따라서 그것은, <내가 잘못되고, 당신이 옳은지 모르겠소. 우리가 열심히 노력하면 진리에 더 가까이 도달할 수 있을 것이오.>와 같이 말하는 태도이다.
이것은 논의를 펴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보다도, 그 논의 자체가 어떤 것인가를 중시하는 태도이다. 이성은 과학과 마찬가지로 상호비판을 통해서 성장한다. 이성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이러한 상호비판의 자유를 보장해 주는 제도를 개발하는 일이다.
참된 합리주의는 소크라테스의 합리주의이다. 그것은 자기 자신의 한계에 대한 인식이며 자기가 얼마나 오류를 범하는가를 아는 지적 겸허이며 자기의 지식이 얼마나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하는가를 아는 지적 겸허이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이성으로부터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이다. 논증은 우리로 하여금 문제를 이전보다 더 분명히 보게하는 배움의 수단이기는 하지만, 논증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태도이다.
비합리주의는 이성보다 감정과 열정에 호소하여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이다. 그것은 본능과 충동에 큰 비중을 둔다. 비합리주의자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이성보다는 감정에 호소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 너무 깊이 감명을 받는다.
이러한 합리주의와 비합리주의의 대결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합리주의는 무비판적인 합리주의와 비판적 합리주의로 나눌 수 있다. 무비판적 합리주의는 논증과 경험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무비판적 합리주의는 자기 자신의 무비판적인 이런 주장에 의해 논파된다. 무비판적 합리주의는 주장 자체는 논증이나 경혐에 의해 지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합리주의는 합리주의적 입장의 채택이 비합리적인 것임을 인정하는, <이성에 대한 비합리적 믿음>이다. 비판적 합리주의는, 그러므로, 무비판적인 전면젹 합리주의가 빠지게 되는 자기모순적인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
무비판적 합리주의와 비판적 합리주의 그리고 비합리주의, 이 가운데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는 개인의 도덕적 결단의 문제이다. 과학적 이론의 선택이 실험의 결과에 의존한다면, 도덕적 입장의 선택은 양심에 의존하는 문제이다. 비합리주의는 피나 계급이나 민족을 중시하므로, 논증을 펴는 사람이 누구인가를 더 중요시한다. 따라서 모든 사람을 친구와 원수로 양분한다. 따라서 평등적이거나 무사공평한 태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무사공평이나 평등의 관념은 감정의 산물이기 보다는 이성의 도덕적 요구이다. 감정은 사람을 자기의 감정의 농도에 따라 여러 집단으로 나누어 놓기에 모든 사람을 똑같이 보려는 평등주의적 태도와는 실제에 있어서 멀리 떨어지게 마련이다. 합리주의는 자기의 한계를 인식하여 남의 이성에 귀를 기울이려고 하는 태도이므로, 타인도 자기의 논변을 펼 수 있는 똑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한다.
합리주의는 사회의 합리화를 요구한다. 그리고 그것은 언어가 감정의 자기 표현의 도구가 아니라, 의사 소통을 위한 이성의 공동 언어로 사용되어야고 한다고 주장한다. 합리주의는 상상력이 비판적 사고의 필수요소임을 인정한다. 근본적으로 합리주의와 인도주의는 매우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비합리주의는 인도주의와 연결될 수는 있으나 그 토대가 굳건하지 못하다.
신비주의는 비합리주의의 한 가닥이다. 신비주의는 합리화할 수 없는 것을 합리화하려는 시도이다. 그것은 개별자에 대한 비합리적 감정을 과학의 영역인 추상적 보편의 세계 속에 옮겨 놓으려는 헛된 시도를 감행한다. 한마디로 신비주의는 비합리적인 것을 합리화하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엉뚱한 곳에서 신비를 찾으려고 한다. 그것은 선택된 자들의 집단을 꿈꾼다.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2 중에서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펜하우어가 판단한 헤겔 (0) | 2010.04.08 |
---|---|
집단주의자 (0) | 2010.04.08 |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 (0) | 2010.04.08 |
Paul Kurtz 를 아십니까. 진짜 스켑틱스란? (0) | 2010.04.08 |
진실을 가려내는 방법 (0) | 201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