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합이 위나라 영공의 태자를 보좌하게 되자 거백옥에게 물었다.
백옥이 말했다
" 여기 어떤 사람이 있는데 천성적으로 덕이 없는 인물입니다. 그와 함께 법도를 지키지 않으면
나라가 위험하고, 예법에 따르게 할 경우에는 저의 목숨이 위태롭습니다. 그의 지혜는 남의 허물만 볼 뿐이고 자신의 잘못은 알지 못합니다. 사람됨이 이와 같으니 제가 어떻게 해야 되겠습니까? "
이에 거백옥이 말했다.
" 잘 물으셨습니다. 무엇보다도 경계하고 삼가서 자신의 몸가짐을 바로 해야 합니다. 태도는 그에 순응하는 것이 제일이고 마음은 함께 맞추는 것이 최상입니다. 비록 그렇기는 하지만 여전히 두 가지망으로는 근심이 있습니다. 따라서 몸으로는 따르더라도 말려들지는 마음은 맞추더라도 겉으로 두드러지게 해서는 안 됩니다. 몸으로 그를 좇다가 아주 빠져들면 뒤집혀 파멸하게 되고 무너져 넘어지게 됩니다. 마음을 맞추다가 그의 단점이 두드러지게 되면 소문이 나서 그의 허물이 알려지게 되어 재앙을 입게 됩니다. 그가 간난아이처럼 놀면 함께 갓난아이 노릇을 하고 그가 아무렇게나 굴면 함께 절제없이 놀아야 합니다. 또한 방탕하게 행동하면 같이 제멋대로 해야만 종내에는 그를 허물없는 인물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당신을 사마귀를 모르십니까? 사마귀는 자기 팔을 휘두르며 수레바퀴에 맞서려 합니다. 자기가 감당 못할 것을 모르기 때문으로 이는 자기 재주를 과신한 탓입니다. 이런 짓을 경계하고. 삼가야 합니다. 자신의 재주를 드러내 상대를 거역하면 위태롭습니다.
당신은 호랑이 사육사를 보신 일이 있을 테지요? 그가 짐승을 산 채로 호랑이에게 주지 않는 것은 산 짐승을 죽이고자 하는 호랑이의 사나운 기운 때문입니다. 또한 먹이를 통째로 주지 않는 것은 먹이를 찢어 발기려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호랑이가 배고플 시기와 배부를 시기를 맞춰 그의 사나운 기운을 달래야 합니다. 호랑이와 사람은 다른 종류입에도 불구하고 호랑이가 양육하는 사람에게 순종하는 것은 그의 본성대로 사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육사가 호랑이에게 물려 죽는 것은 그의 본성대로 양육하지 않은 탓입니다.
그런데 말을 사랑하는 사람은 값비싼 광주리에 말똥을 담고 대합조개로 장식된 그릇에 오줌을 받습니다. 하지만 어쩌다 말의 등에 모기나 등에가 달라붙어 갑자기 채찍을 내리치면, 놀란 말은 재갈을 물어 끊고 머리를 여기저기 부딪치고 가슴을 치고 받습니다. 따라서 마음속으로는 말에 대한 사랑은 지극하지만 결국 사랑하는 말은 잃게 되므로 어찌 삼가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顔闔將傅衛靈公太子(안합장부위령공태자) 而問於蘧(이문어거) 伯玉曰(백옥왈)
有人於此(유인어차) 其德天殺(기덕천살) 與之爲無方(여지위무방) 則危吾國(칙위오국)
與之爲有方(여지위유방) 則危吾身(즉위오신) 其知適足以知人之過(기지적족이지인지과)
而不知其所以過(이부지기소이과) 若然者(약연자) 吾奈之何(오내지하)
籧伯玉曰(거백옥왈) 善哉問乎(선재문호) 戒之(계지) 愼之(신지) 正汝身也哉(정여신야재)
形莫若就(형막약취) 心莫若和(심막약화) 雖然(수연) 之二者有患(지이자유환)
就不欲入(취불욕입) 和不欲出(화불욕출) 形就而入(형취이입) 且爲顚爲滅(차위전위멸)
爲崩爲蹶(위붕위궐) 心和而出(심화이출) 且爲聲爲名(차위성위명) 爲妖爲孼(위요위얼)
彼且爲嬰兒(피차위영아) 亦與之爲嬰兒(역여지위영아) 彼且爲無町畦(피차위무정휴)
亦與之爲無町畦(역여지위무정휴) 彼且爲無崖(피차위무애) 亦與之爲無崖(역여지위무애)
達人入於無疵(달인입어무자) 汝不知夫螳螂乎(여부지부당랑호) 怒其臂以當車轍(노기비이당차철) 不知其不勝任也(부지기불승임야) 是其才之美者也(시기재지미자야) 戒之(계지)
愼之(신지) 績伐而美者以犯之(적벌이미자이범지) 幾矣(기의)
汝不知夫養虎者乎(여부지부양호자호) 不敢以生物與之(불감이생물여지)
爲其殺之之怒也(위기살지지노야) 不敢以全物與之(불감이전물여지) 爲其決之之怒也(위기결지지노야) 時其飢飽(시기기포) 達其怒心(달기노심) 虎之與人異類(호지여인이류)
而媚養己者順也(이미양기자순야) 故其殺之者逆也(고기살지자역야)
夫愛馬者(부애마자) 以筐盛矢(이광성시) 以蜃盛溺(이신성익) 適有蚊虻僕緣(적유문맹복연)
而拊之不時(이부지불시) 則缺銜毁首碎胸(즉결함훼수쇄흉) 意有所至而愛有所亡(의유소지이애유소망) 可不愼邪(가불신사)
장자(莊子) 내편(內篇) 제4편 인간세(人間世) 중에서
'고전,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聞誅一夫 문주일부, 한 지아비인 주紂를 베었다는 말은 들었어도 (0) | 2011.01.07 |
---|---|
보들리야르의 <시뮬라시옹> & 파생 실재 (0) | 2010.11.24 |
蝸牛角上之爭 (와우각상지쟁) (0) | 2010.11.20 |
볼테르 [1694.11.21~1778.5.30] (0) | 2010.11.11 |
타산지석(他山之石) & 반면교사 [反面敎師] (0) | 201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