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의 상대성 도덕성은 도덕의 기준틀에 따라 상대적이다. 도덕성이 인간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인간이 구성한 것임을 이해하기만 하면 한다면, 다른 사람들의 믿음 체계에 대해서, 나아가 타인에 대해서도 더욱 관용을 베풀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타인의 행동에 대한 최종적인 도덕적 조정자로 자처.. 철학 2010.05.01
본성과 양육 본성과 양육 논쟁의 역사에서 진정으로 위대한 과학적 발견과 놀라운 각성의 순간들은 모두 어느 한편의 승리라고 못박기가 불가능했다. 이 책에서 찬양했던 실험들 즉, 로렌츠의 새끼거위, 할로우의 원숭이, 미네카의 장난감 뱀, 인젤의 들쥐, 지퍼스키의 파리, 랜킨의 선충, 홀트의 올챙이, 블랜차드.. 과학 2010.04.29
신비주의에 대한 분석/ 흄의 공리 명백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는 우리가 주목할 만한 일반적 공리이다.) "증언 자체가 기적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리고 증언이 거짓일 가능성이 그 증언이 입증하고자 하는 사실보다 더 기적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 어떤 증언도 기적을 입증하기에는 .. 철학 2010.04.27
칸트의 어록 중 인간을 수단으로서만 대하지 말고 목적으로도 대하라. 네 의지의 준칙이 항상 동시에 보편적 법칙 수립의 원리에 타당하도록 행동하라. 그에 대해서 자주 계속해서 숙고하면 할 수록 점점 큰 외경과 경탄으로 다가오는 것이 두 가지가 있으니 내 머리 위의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안의 도.. 철학 2010.04.26
사람을 보는 지혜 *사람과 조직을 망하게 하는 10가지 유형 1.권모술수형 2.기회주의형 3.책임회피형 4.자화자찬형 5.돌격영웅형 6.최고지상주의형 7.간사와 아첨형 8.도적질하는 형 9.오직 자기 중심형 10.끝없이 비난하는 형 *절대 피해야할 8가지 유형의 사람 1.나쁜 소식만 단골로 전해주는 사람 2.허무주의자 3.칭찬에 인.. 기타 2010.04.24
회의주의가 짊어진 부담/칼 세이건 상충하는 두 가지 욕구 사이에 절묘한 균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 앞에 차려진 모든 가설들을 지극히 회의적으로 면밀히 검토하는 것과 아울러, 새로운 생각에도 크게 마음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여러분이 회의에만 머문다면, 여러분은 어떤 새로운 생.. 과학 2010.04.24
멘토의 유래와 멘토링 (멘토의 유래와 멘토링) 멘토란 뜻은 정신적 지주, 또는 자신에게 있어서는 그 어느 스승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아주 훌륭한 선생을 말합니다. <멘토>란 단어의 유래는 옛날 트로이 전쟁때 그리스 연합국 중에 소속돼있던 <이타카>국가의 왕인 오디세우스가 전쟁에 나가면서 자신의 어린 아.. 고전,문화 2010.04.24
차세대 전문가가 갖춰야 할 5가지 자질 차세대 전문가여, 5가지를 갖춰라! 안철수 교수 연세대 강연 “끝없이 자신의 한계를 높여라. 또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국내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연구의 개척자인 안철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좌교수가 5일 차세대 전문가를 꿈꾸는 대학생들에게 던진 첫 번째 메시지다. 안 교수는 이날 오후 연.. 기타 2010.04.24
기억에 남는 책들 # 현대의 고전으로 음미해야 할 책들 ( 숫자는 10점 만점으로 한 평점) 1, 신판 심리학의 오해 (K.E.스타노비치. 9) ; 진짜 심리학과 과학을 알고 사이비를 가리기 위해. 2. 하이에크, 자유의 길 ( 민경국 편저.9) , 노예의 길(하이에크.8.5) ;자유주의의 이론적 기초와 비판. 3. 열린 사회와 그 적들.. 나의 이야기 2010.04.21
과학의 대중화와 저질화 < 과학의 대중화와 저질화 > 내가 걱정하는 바는 과학을 전부 재미있고, 장난스럽고, 쉽게 선전하는 바람에 훗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다. 진정한 과학은 어려울 수는 있으나(도전할 만하다는 것이 나은 표현이다) 고전문학 또는 바이얼린 연주처럼 그만큼의 보람이 있는 일이다.. 과학 2010.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