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과 긍정적 정서
아기가 젖을 먹으면서 엄마의 얼굴을 자주 올려다보며 미소를 짓는다. 그러면 엄마도 환하게 웃으며 사랑스러운 눈길로 아기를 바라보고 그 모습을 본 아기는 까르륵거리며 좋아한다. 이처럼 즐거움을 서로 공유할 때 엄마와 아이 사이에는 ‘안정적인 애착’이 생긴다.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성장해서 그렇지 못한 또래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즉, 끈기, 문제 해결 능력, 독립심, 호기심, 열정을 포함한 거의 모든 면에서 그러한 차이를 보인다.
긍정적 정서를 느끼고 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어머니와 갓난아이가 교감하는 사랑뿐 아니라 온갖 사랑과 우정의 밑거름이 된다. 그런데 긍정적 정서가 중요한 까닭은 그 자체로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세상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성공적으로 이끌어주기 때문이다.
행복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는 행동은 자연스레 이타주의로 나타난다. 동병상련이란 말이 있듯이 고통을 많이 겪은 사람들이 훨씬 더 이타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모든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행복한 사람이 이타심을 발휘할 확률이 훨씬 높다. 즉, 행복한 사람이 더 많은 동정을 베풀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데 더 많이 기부한다는 뜻이다.
긍정적 감정은 발전적이고 너그러우며 창조적인 사고 작용을 활성화함으로써 사회적, 지적, 신체적 혜택을 한껏 누리게 해줄 것이다.
-- 긍정 심리학 중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시장이 충돌할 때 (0) | 2013.12.31 |
---|---|
과거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바꾸기 (0) | 2013.11.28 |
감정 상태에 따른 적합한 일 (0) | 2013.11.26 |
눈물 마법의 비밀 (0) | 2013.11.23 |
여성들의 유별난 ‘예쁜 것’ 선호 (0) | 201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