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수렴적 증거의 원리(principle of converging evidence)

팔락 2011. 4. 30. 12:59

과학에서는 증거평가의 원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생각은 때때로 수렴적 증거(또는 수렴조작)의 원리(principle of converging evidence or converging operation)라고 불린다. 과학자 또는 과학지식을 응용하는 사람들은 흔히 증거의 우세함이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 판단해야 할 입장에 놓인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연구결과의 상태를 평가하는 과제에서 그리고 또한 미래의 실험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서도 수렴적 증거의 원리가 중요해진다.

 

수많은 각기 다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들이 대체로 특정한 결론을 일관성 있게 지지한다고 가정해보자. 하나의 실험은 불완전하다는 본질을 전제로 수행된 연구에서 문제점의 정도와 그 내용을 평가해 볼 수 있다. 만일 모든 실험들이 동일한 방식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면, 그 실험들로부터 내린 결론에 대한 확신도가 손상될 수 있다. 왜냐하면 결과의 일관성은 단지 모든 실험이 공유하는 특정한 문제점에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만일 모든 실험들이 단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각기 다른 방식에서 그런 것이라면, 결론에 대한 우리의 확신도는 증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상황은 결과의 일관성이 모든 실험을 혼란에 빠뜨린 오염요인 때문일 가능성을 낮추어 주기 때문이다. 앤더슨은 ``각기 다른 방법은 각기 다는 가정을 수반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하나의 개념적 가설이 상이한 가정들에 근거한 많은 반증가능성 속에서 살아남는다면, 우리는 강력한 효과를 확인해 낸 것이다.``라고 언급한다.

 

각 실험은 다른 실험의 설계에서 나타난 실수를 교정해 주는 기능을 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이 결과에 결정적인지를 고찰한 다른 연구들에 의해서 지지받게 된다. 각 실험이 어느 정도 상이한 방식으로 단점을 가지고 있거나 아니면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 연구기법들을 가지고 수행된 광범위한 실험들로부터의 증거가 동일한 방향을 지향한다면, 그 증거는 수렴한 것이다.

 

따라서 수렴적 증거의 원리는 조금씩 차이가 나는 수많은 실험을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론을 도출할 것을 촉구한다. 이 원리가 보다 강력한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해주는 이유는 이러한 맥락에서 증명된 일관성이 단일 유형의 실험절차가 가지고 있는 독특성으로 인해서 얻어질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진단  (0) 2011.05.18
레이저  (0) 2011.05.18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0) 2011.04.28
과학 발전과 과학자의 태도  (0) 2011.04.28
과학발전을 저해하는 개인의 성향  (0) 201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