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팔락 2011. 4. 28. 16:31

조작주의란 과학이론에서 개념은 어떤 방식으로든 측정될 수 있는 실세계의 관찰가능한 사건에 근거를 두거나 아니면 그 사건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개념을 관찰가능한 사건에 연계시키는 것이 그 개념의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이며, 그 개념을 공개적인 것으로 만들어 준다. 조작적 정의는 개념을 특정 개인의 감정이나 직관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측정가능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개념을 검증할 수 있게 해준다.

 

예컨대, `배고픔`의 개념을 `배에서 느껴지는 쓰린 느낌`으로 정의하는 것은 조작적 정의가 아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쓰린 느낌`이라는 개인적 경험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관찰자는 그 느낌에 접근할 수가 없다. 반면에 측증가능한 음식박탈 시간이나 혈당 수준과 같은 생리적 지표를 수반하는 정의는 조작적이다. 왜냐하면 누구나 수행할 수 있는 관찰가능한 측정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심리학자들은 예컨데, 불안을 `내가 때때로 겪는 불편하고 긴장된 감정`으로 정의하는 것에 만족할 수가 없으며, 질문지와 생리적 측정과 같은 다양한 조작으로 그 개념을 정의하여야 한다. 전자의 정의는 신체상태에 대한 개인적 해석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반복할 수가 없다. 후자는 개념을 과학의 공개된 영역에 노출시킨다.

 

과학에서의 개념은 일련의 조작들에 의해서 정의되는 것이지 단 하나의 행동적 사건이나 과제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가지 상이한 과제와 행동적 사건들이 사용되어 하나의 개념으로 수렴한다.

 

과학개념의 정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 개념에 적용되는 관찰들이 풍부해짐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한 개념에 대한 최초의 조작적 정의가 이론적으로 비생산적이라고 판명되면, 일련의 대안적인 정의적 조작을 위하여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과학에서의 개념은 계속해서 진화하며, 이들에 관련된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서 추상성이 증가할 수 있다.

 

예컨데, 전자는 한 때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음전하를 띤 조그만 공으로 개념화되었다. 오늘날 전자는 특정 실험 상황에서는 파동과 같은 특성을 지닌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