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는 개인의 특성 가운데 가장 접근하기 쉬운 특성일 뿐 아니라, 일상에 강력하고 극적인 또는 은밀한 역할을 수행한다. 말하자면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우리는 인지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해 그 사람의 인상을 종합한 다음 순간적인 평가를 내린다. 그리고 우리가 가진 편견과 지식을 그 사람에게 기대하는 행동 방식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사람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시켜 인식한다. 이런 첫인상은 그냥 사라지지 않고 그 사람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첫인상은 순간적으로 형성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 대한 최초의 인식이라는 말뜻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편향되기 십상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첫인상은 비언어적 단서, 특히 외모에 거의 전적으로 의지하는데 외모가 최초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은 언어적 단서의 네 배에 이른다. 이는 우리가 외모로부터 얻는 단서들이 그 사람의 인격, 가치, 원칙에 대한 정보를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첫인상이 형성되는 과정은 가장 단순하고 손쉬운 방법을 따른다. 그것은 곧 외모에 근거한 사회적 범주 안에 상대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물론 첫인상은 바뀔 수 있고, 실제로 바뀌기도 한다. 요점은 다른 사람과 자신을 대하는 방식에 외모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기본적 귀인 오류, 근본적 귀인 오류 FAE >
다른 사람의 행동을 해석할 때 사람들이 어김없이 기본적인 성격 요소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고, 상황이나 맥락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도 어떠한 일에 대하여 자신과 같은 방식으로 반응할 것이라고 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개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출생 순서를 꼽는 흥미 있는 아이디어가 등장했다
형은 지배적이고 보수적이며 동생은 보다 창의적이며 반항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심리학자인 주디스 해리스가 /선천성 가정/에서 지적했듯이 가족을 중심으로 할 때에만 가능하다 일단 가족을 벗어나 다른 맥락에 속하게 되면 형은 더 이상 지배적이지 않고 동생은 어느 누구보다도 더 반항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출생 순서의 신화는 사실상 기본적 귀인 오류의 한 사례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괴담들을 떨쳐버려야 하는 이유 (0) | 2010.07.31 |
---|---|
널리 퍼져 있는 심리학의 미신 (0) | 2010.07.31 |
가랑비에 옷 적시다 (0) | 2010.05.09 |
도덕 관념을 구성하는 감정들의 계보, 도덕기반이론 (0) | 2010.04.15 |
자제력과 성적(마시멜로 실험) (0) | 201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