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들2 사람들의 문제는 무식함이 아니라 잘못된 것을 너무나도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이다. -- 조시 빌링스(Josh Billings), 19세기의 코미디언. 하지만 이 말은 종종 마크 트웨인(Mark Twain)이 했다고 잘못 인용된다(그래서 결론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격언이 되었다). 개인적 관심사의 좁은 한계를 뛰.. 기타 2010.06.04
'끝까지 해보라' 네게 어려운 일이 생기면 마주 보고 당당하게 맞서라. 실패할 수 있지만, 승리할 수도 있다. 한번 끝까지 해보라! 네가 근심거리로 가득 차 있을 때 희망조차 소용없어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 네가 겪고 있는 일들은 다른 이들도 모두 겪은 일일 뿐이다. 실패한다면, 넘어지면서도 .. 기타 2010.05.31
몰입의 즐거움/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삶을 훌륭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감이 아니라 깊이 빠져드는 몰입이다. 몰입해 있을 때 우리는 행복하지 않다. 행복을 느끼려면 내면의 상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그러다 보면 정작 눈앞의 일을 소홀히 다루기 때문이다. 암벽을 타는 산악인이 고난도의 동작을 하면서 짬을 내어 .. 기타 2010.05.20
사람을 보는 지혜 *사람과 조직을 망하게 하는 10가지 유형 1.권모술수형 2.기회주의형 3.책임회피형 4.자화자찬형 5.돌격영웅형 6.최고지상주의형 7.간사와 아첨형 8.도적질하는 형 9.오직 자기 중심형 10.끝없이 비난하는 형 *절대 피해야할 8가지 유형의 사람 1.나쁜 소식만 단골로 전해주는 사람 2.허무주의자 3.칭찬에 인.. 기타 2010.04.24
차세대 전문가가 갖춰야 할 5가지 자질 차세대 전문가여, 5가지를 갖춰라! 안철수 교수 연세대 강연 “끝없이 자신의 한계를 높여라. 또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국내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연구의 개척자인 안철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좌교수가 5일 차세대 전문가를 꿈꾸는 대학생들에게 던진 첫 번째 메시지다. 안 교수는 이날 오후 연.. 기타 2010.04.24
자기 개발 우리는 자기 개발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다. 그러나 한 가지만은 알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특히 지식 근로자는 자신이 스스로 설정한 기준에 따라 성장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스스로 설정한 기준에 따라 성장한다는 것이다. 사람은 스스로가 성취하고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 기타 2010.04.08
<자아실현자들의 특징> <자아실현자들의 특징> 1. 현실에 대한 분명한 인식 2. 수용- 자신을 비롯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3. 자연스러움- 세상을 끊임없이 새롭게 바라보고 현실의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어린애 같은 자연스러움을 지녔으며 풍요롭고 인습에 사로잡히지 않는 내면의 삶을 산다. 4. 문제집중- .. 기타 2010.04.08
블랙 스완 일방적인 준회의주의에 대한 이러한 아이디어를 처음 개진한 사람은 칼 포퍼다. 아마도 포퍼는 현실 세계의 배우들에 의해 실제로 읽히고 논의되는 유일한 과학철학자일 것이다.(그에 비하면 강단 철학자들은 좀 심드렁하게 여긴다). 이 원고를 쓰고 있는 지금 내 서재의 벽에는 포퍼의 .. 기타 2010.04.08
예견의 스캔들/블랙 스완 중에서 미래는 결코 예견할 수 없다. 예견의 스캔들 오늘날 세계에 가장 큰 충격을 준 기술을 세 가지만 꼽아 보라고 하면 대부분 컴퓨터와 인터넷, 레이저 광선을 든다. 이 세 가지 기술은 모두 어떤 계획하에 만들어진 것도 아니고, 미리 예견된 것도 아니며, 발명 당시는 물론 꽤 한참 후까지도.. 기타 2010.04.08
유머 러닝화와 곰 < 불확정성의 원리 > 하이젠베르크는 MIT에서 강의를 해야 했다. 그런데 너무 늦게 출발했기 때문에 빌린 차를 타고 케임브리지 시를 미친 듯이 달려야 했다. 그러니 결국 경찰에게 잡힐 수밖에. 차를 세운 경찰이 하이젠베르크에게 말했다. "지금 시속 몇 킬로미터로 달리신 건지 알고 있습니까?" .. 기타 201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