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효과의 근거가 없다'는 말의 진짜 의미는 무엇일까? '치료 효과의 근거가 없다'는 말의 진짜 의미는 무엇일까? 강석하|2015.04.08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진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기존 발표된 임상시험 논문들을 종합 분석해 보다 고차원의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방법) 60편 중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논문 단 한 편만 효과 있다는 결론이었다.. 의료사회학 2015.04.11
무용지용(無用之用), 울지 않는 거위 무용지용(無用之用) 산의 나무는 스스로를 해치고, 기름 등불은 스스로를 태운다. 계수나무는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베이고, 옻나무는 칠로 쓰이기 때문에 잘린다. 사람들은 모두 쓸모 있는 것만 알지, 쓸모없는 가운데 쓸모가 있다는 것을 모른다.(山木自寇也. 膏火自煎也. 桂可食, 故伐之.. 고전,문화 2015.04.09
사회적 고통과 물리적 고통 사회적 연결은 인간 경험의 기본적 속성이기 때문에, 그것이 박탈되면 인간은 고통을 느낀다. 사회적 거절의 고통을 육체적 손상의 고통과 비교해서 - '감정을 다치다'와 같이 - 표현하는 언어가 많은데, 이것은 그저 비유만은 아니다.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물리적 고통에는 두 요소가 .. 심리학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