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신뢰는 ‘합리적 의심’에서 나온다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신뢰는 ‘합리적 의심’에서 나온다 1957년 독일의 그뤼넨탈사(社)는 ‘탈리도마이드’라는 화합물로 만든 수면제를 시판했다. 인체에 무해하다고 해서 의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이었다. 특히 임신부들의 입덧 완화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 약.. 과학이야기 2016.09.0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정자는 역동적이고 난자는 수동적이라고?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정자는 역동적이고 난자는 수동적이라고? ―과학과 여성 차별 인간 사회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차별은 성차별일 것이다. 농경사회가 시작된 이래 대부분의 문명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나은 대접을 받았다. 아니, 부적절한 표현이다. 대개 여성은 남.. 과학이야기 2016.08.23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에어컨 없는 소크라테스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에어컨 없는 소크라테스 배고픈 소크라테스는 될 수 있을지언정, 에어컨 없는 소크라테스는 되기 힘든 요즘 날씨다. 고등학생 시절 에어컨 없는 교실에서 여름방학 보충수업을 들었다. 선풍기 바람이 잘 드는 자리를 두고 싸우던 기억이 난다. 요즘엔 에어컨 .. 과학이야기 2016.08.1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덥다는 것의 의미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덥다는 것의 의미 요즘 너무 덥다. 매년 되풀이되는 일이기는 하다. 그렇다고 쉽사리 적응되는 것도 아니다. 분명 내년 이맘때에도 더울 거다. 덥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무엇을 의미할까. 비가 오면 더위가 한풀 꺾이는 것으로부터 햇빛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 과학이야기 2016.08.1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개, 돼지’를 인간으로 만든 과학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개, 돼지’를 인간으로 만든 과학 ―뉴턴 물리학의 사회적 의미 진부하고 경박한 질문을 하나 해보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은 누구일까. 알렉산드로스? 카이사르? 티무르? 나폴레옹? 철학자 볼테르는 망설임 없이 ‘아이작 뉴턴’이라고 대답했다. 우리.. 과학이야기 2016.08.1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원전의 위험은 어떻게 계산하나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원전의 위험은 어떻게 계산하나 -에너지와 숫자의 관계 51.9% 대 48.1%. 이번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 결과다. 투표에서 단 한 표가 결과를 가를 때도 있다. 과학에서도 숫자는 중요하다. 19세기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은 다윈의 진화론에 반기를 들었다. 그의 계산에.. 과학이야기 2016.08.1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니호늄 원자사냥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니호늄 원자사냥 -원자의 발견과 그 의미 모든 것은 원자로 되어 있다. 이 글이 적힌 신문도 원자로 되어 있고, 신문을 읽는 당신도 원자로 되어 있다. 원자의 구조는 단순하다. 가운데 원자핵이 있고, 그 주위를 전자들이 돈다. 태양과 그 주위를 도는 행성들.. 과학이야기 2016.08.16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모든 길은 빅뱅으로 통한다.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모든 길은 빅뱅으로 통한다. ― 에너지 보존법칙의 철학적 의미 “당신이 같은 강물에 발을 두 번 담글 수 없는 까닭은 늘 새로운 강물이 당신에게 흘러들기 때문이다.”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대립되.. 과학이야기 2016.08.16
새삼 실존주의 [박정자의 생각돋보기]새삼 실존주의 “내가 승리를 위해 싸웠을 때, 그 승리는 나의 것이 되고, 내가 하늘을 날 수 있을 때 하늘은 나의 것이 되며, 내가 헤엄치고 항해할 수 있을 때 바다는 나의 것”이 된다고 했다. 하나의 대상은, 내가 그 안에서 내 모습을 찾아볼 수 있을 때에만 나의.. 철학 2016.05.21
다른 시공간 잇는 우주 지름길 ‘웜홀’, 아직 발견 안돼 다른 시공간 잇는 우주 지름길 ‘웜홀’, 아직 발견 안돼 최고의 SF영화 ‘인터스텔라’… 비과학적 ‘옥에 티’는 갈수록 산소가 줄어들어 더 이상 인류가 살 수 없게 된 지구. 때마침 토성 근처에서 웜홀(다른 시공간을 잇는 우주구멍)이 발견된다. 지난주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Inte.. 과학이야기 2016.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