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욱 교수의 과학에세이]해가 두 번 뜨면 1년이 지나는 별에 산다면 [김상욱 교수의 과학에세이]해가 두 번 뜨면 1년이 지나는 별에 산다면 완연한 봄이다. 아침 햇살이 따사롭다. 아침 햇살은 지구로부터 1억5000만 km 떨어진 태양의 표면에서 출발한다. 빛의 속도로 8분 정도 걸리는 거리다. 이 빛은 1000만 도에 달하는 뜨거운 태양의 중심에서 만들어졌다. .. 과학이야기 2016.05.17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 쓰는 데 빅뱅이 필요하다고?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스마트폰 쓰는 데 빅뱅이 필요하다고?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의 한국 방문이 화제다. 저자는 호모사피엔스 종의 역사와 미래를 그만의 독특한 시각을 가지고 장대한 스케일로 서술한다. 농업혁명이 거대한 사기였다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을 .. 과학이야기 2016.05.17
[김상욱 교수의 과학에세이]인공지능 시대, 인문학적 상상력의 가치 [김상욱 교수의 과학에세이]인공지능 시대, 인문학적 상상력의 가치 미국 조지아공대 아쇽 고엘 교수는 올 1월부터 ‘질 왓슨’이라는 인공지능 조교를 이용해 왔다. 질 왓슨은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상담을 해주었는데, 학생들은 이 조교의 정체를 몇 달 동안 전혀 알지 못했다고 한다.. 과학이야기 2016.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