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리더들의 8가지 덕목
1. 그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고 묻는다.
효율적인 리더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라고 묻지 않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고 묻는다. 효율성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고 묻고 그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통해서만 성취될 수 있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는 대개 긴급을 요하는 여러개의 과제가 동시에 등장한다. 그러나 효율적인 리더들은 자신의 능력을 여러 곳으로 분산시키지 않는다. 그들은 가능한 한 당면한 하나의 과제에만 집중한다. 즉 효율적인 리더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고 물은 뒤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것을 반드시 지켜나간다.
2. 그들은 ``무엇이 조직을 위해 올바른 것인가``라고 묻는다.
``무엇이 조직을 위한 것인가?``라고 묻는다고 해서 저절로 올바른 행동이 취해지는 것은 아니다. 가장 똑똑한 리더라고 해도 결국은 인간이고, 인간은 누구나 오판과 편견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질문 자체를 아예 던지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바로 그릇된 행동을 보장하는 것이다.
3. 그들은 계획표에 따라서 행동한다.
리더는 변화의 실질적인 주체다. 아무리 방대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어도 그것을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따라서 효율적인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활동 계획표가 필요하다. 여기서 제기해야 할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조직이 나의 임기 동안 내게 기대하는 공헌과 성과와 결과는 무엇인가?
* 이 기간 동안 내가 책임져야 할 공헌과 성과와 결과는 무엇인가?
*그 기간은 언제인가?
*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무엇이 조직을 위한 것인가?
* 우선순위를 어디에 둘 것인가?
이와 같은 질문을 충분히 생각한 뒤에 다음에 이어지는 질문들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장애물들을 고려해야 한다.
* 우리의 행동은 도덕적으로 비난의 여지는 없는가?
* 우리의 행동은 조직 회원들에게 용인될 수 있는 것인가?
* 우리의 행동은 합법적인가?
* 우리의 행동은 우리의 이념과 가치와 조직 정책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활동 계힉표는 자신의 의도에 대한 설명이며, 특정한 행동 양식으로부터 기대되는 결과에 대한 분명한 규정을 명시해야 한다. 또한 기대감과 결과 사이에 지속적이고도 자동적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피드백 메카니즘을 마련해야 한다.
4. 그들은 기꺼이 책임을 떠맡고 결정을 내린다.
효율적인 결정권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진정한 결정이 내려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 실행과 엄수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들의 이름이 포함되지 않았을 때.
* 결정의 당사자로서 그에 합당한 정보를 받아야 하고, 그 결정을 이해하고, 인정하고, 최소한 받아들여야 하는 사람들의 이름이 거론되지 않았을 때
* 직접적인 당사자는 아니지만 결정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았을 때
5. 그들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마련한다.
효율적인 리더들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책임을 떠맡는다. 모든 조직은 재산이나 권위가 아니라 정보로 결속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정보는 쌍방향으로 작동해야 하며 하향식의 정보 전달은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지시에 불과하다.
6. 그들은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효율적인 경영자들은 어려움이 아니라 기회에 집중한다. 물론 문제점들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은 모색되어야 하고 어영부영 넘겨버려서는 안된다. 효율적인 경영자들은 문제 해결이 아무리 중요하다고 해도 그것은 결코 결과를 드러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문제의 해결은 손해를 예방할 뿐 그 이상은 아니다. 그에 반해 여러가지 가능성을 철저하게 이용하는 것은 분명 결과를 이끌어낸다. 유능한 리더들은 무엇보다도 변화를 위험이 아닌 기회로 파악한다.
7. 그들은 생산적인 미팅 시스템을 구축한다.
* 성명과 공지 사항 또는 언론 보고를 준비해야 하는 미팅. 이 미팅이 생산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참석자들 중 한 사람이 사전에 초안을 작성해야 한다. 또한 미팅이 끝날 때도 특정한 참석자가 미팅에서 협의된 보고 사항을 제대로 전달하는 책임을 맡아야 한다.
* 조직 내부의 변화와 관련된 성명서를 작성해야 하는 미팅. 이 미팅이 생산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성명서와 거기에 대한 토론으로만 제한되어야 한다.
* 보고 미팅. 여기서는 보고된 내용과 관련된 것에 대한 토론만 진행된다.
* 하나의 문제점이나 결정 사항 또는 특정한 주제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는 미팅은 가능한 그때그때 하나의 주제만 다룬다.
* 경영자들이 정보 획득을 위해서 소집되는 미팅. 효율적인 경영자는 이 자리에서 주로 경청하거나 질문을 던진다.
8. 그들은 항상 `우리`라고 말하고 생각한다.
이상적인 리더의 태도를 규정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규칙뿐이다. 첫째 효율적인 리더는 `나`라고 말하지 않고 항상 `우리`라고 말하고 생각한다. 둘째, 효율적인 리더는 가장 먼저 듣고 가장 나중에 말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에게 쓴 편지(리차드 도킨스) 2. (0) | 2011.04.22 |
---|---|
딸에게 쓴 편지(리차드 도킨스) 1. (0) | 2011.04.22 |
경구들3 (0) | 2010.12.15 |
凡人이 리더가 되려면 (0) | 2010.11.20 |
CEO의 고질병 (0) | 201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