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자본, 진보주의 보수주의 서사
도덕적 자본이란 어떤 공동체가 가진 가치, 미덕, 규범, 관습, 정체성, 제도, 첨단기술, 그리고 이와 맞물린 진화한 심리 기제의 정도를 말한다. 이들은 도덕적 체계로서 함께 작용하여 개인의 이기심을 억제하거나 규제하며, 나아가 협동적인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사회학자 크리스천 스미스의 "진보주의의 발전 서사" (좌파 도덕 매트릭스)
옛날 옛적에 사회와 사회제도가 부정의하고 불건전하고 폭압적이어서, 수없이 많은 이가 그 안에 살며 고통을 받았다. 이 사회가 비난받을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불평등, 착취, 비합리적인 전통이 이곳에 깊이 뿌리내려 있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자유,평등,번영을 바라는 인간의 고귀한 열망이 그러한 불행과 폭압의 힘에 맞서 맹렬히 싸워나갔고, 결국 자유롭고 민주적인 현대 자본주의 복지사회를 이룩해냈다.
현대사회의 모든 조건이 개인의 자유와 기쁨을 최대화시킬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평등,착취,폭압이 남긴 뚜렷한 흔적을 없애려면 아직도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많다. 훌륭한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투쟁을 벌이는 것, 개개인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조건 속에서 스스로 정의한 행복을 위해 살아갈 수 있도록 투쟁을 벌이는 것은, 한 사람이 목숨 바쳐 이룰 만한 진정 가치 있는 사명이다.
로널드 레이건 연설문의 "보수주의 서사" (우파 도덕 매트릭스)
예전에 미국은 세상에 환한 빛을 비춰주는 등대와도 같았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진보주의자들이 나타나더니 엄청난 규모의 연방 관료 체제를 세웠고, 이로써 자유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에는 꼼짝없이 수갑이 채워졌다. 그들은 다니는 곳곳마다 미국의 전통적 가치들을 뒤엎었으며 하느님과 신앙에도 반기를 들었다. --- 그들은 사람들에게 먹고살기 위해 일을 하라고 하는 대신 열심히 일하는 미국인들의 돈을 퍼다 고급 승용차를 몰고 다니는 마약중독자나 사회보장제로 호사하는 가짜 생활보호 대상자들에게 나눠 주었다. 또 범죄자를 벌하기는 커녕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범죄의 희생자들을 걱정하지 않고, 범죄자의 인권을 걱정했다. ---
가정, 충절, 개인적 책임감이라는 미국의 전통적 가치를 고수하는 대신 난잡한 성생활, 혼전 성교, 동성애 생활방식을 설교하고 다녔다. --- 거기다 페미니즘을 부추겨 가정이 가진 전통적 역할까지 훼손시켰다.---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악을 자행하는 무리에게 무력을 행사하기는커녕 오히려 국방 예산을 삭감하고, 군복 입은 군인들을 멸시했으며, 성조기를 불태우고, 협상과 다자주의를 선택했다. ---
미국을 해치려는 자들의 손에서 이제 미국인들은 자신의 조국을 되찾아오기로 결심했다.